newsare.net
인공지능(이하 AI)과 로봇 기술이 빠르게 융합하면서 ‘공간 인지(Spatial AI)’가 차세대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로봇이 스스로 공간을 이해하고 움직이는 ‘지능형 물리 AI(Physical AI)’ 시대英 로봇 권위자 “휴머노이드 상용화 ‘3D 공간 인지 기술이 핵심’”[AI+ICT 산업기술전망 컨퍼런스]
인공지능(이하 AI)과 로봇 기술이 빠르게 융합하면서 ‘공간 인지(Spatial AI)’가 차세대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로봇이 스스로 공간을 이해하고 움직이는 ‘지능형 물리 AI(Physical AI)’ 시대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는 전망이다.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로봇 비전 권위자 앤드류 데이비슨 교수는 12일 ‘2026 AI+ICT 산업기술전망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물리적 AI의 기초 기술인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을 토대로한 공간 인지 AI의 미래를 제시했다.앤드류 데이비슨 교수는 로봇이 인간처럼 세상을 인식하고 행동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주방을 정리한다고 가정해 볼 때 실제로 유용하게 움직이려면 단순히 신경망을 통해 학습된 행동 패턴만으로는 부족하다”며 “로봇이 자신이 있는 공간을 지도나 표상으로 구축하고, 이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