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지난번 7월 20일자 멜라니 미첼(Melanie Mitchell)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서평의 후속편으로 이번에는 AI의 자연어 처리(natural-language processing)에 대해 다뤄 보겠다. 자연어 처리는 음성AI와 달리 인간은 추상하고 비유한다[송평인의 시사서평]
지난번 7월 20일자 멜라니 미첼(Melanie Mitchell)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서평의 후속편으로 이번에는 AI의 자연어 처리(natural-language processing)에 대해 다뤄 보겠다. 자연어 처리는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질의에 대한 응답(question answering),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분야에서도 딥러닝은 놀라운 성취를 이뤘다.2012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IBM의 연구자들에 의해 음성 인식의 랜드마크가 될 논문이 발표됐다. 이들은 심층 신경망을 이용해 음향 신호에서 음소(phoneme)을 인식하고, 음소의 결합에서 단어(word)를 예측하고, 단어의 결합에서 문장(phrase)를 예측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 놀라운 것은 음성 인식 시스템이 인간이 하는 말의 의미(meaning)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면서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