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허준이 교수가 본 ‘AI의 미래’1년여 만에 한국을 찾은 2022년 ‘수학계 노벨상’인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사진). 허 교수는 동료들과의 긴 대화와 거기에서 온 영감에“인간의 일상 속 대화 모르는 AI… 인류와 다른 방향 진화할 것”
《허준이 교수가 본 ‘AI의 미래’1년여 만에 한국을 찾은 2022년 ‘수학계 노벨상’인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사진). 허 교수는 동료들과의 긴 대화와 거기에서 온 영감에 힘입어 올해에만 4편의 논문을 사전 발표 사이트에 공개할 수 있었다며 “인공지능(AI)은 데이터화돼 있는 것을 학습하지만, 사람들의 일상 속 긴 대화는 배우지 못하기 때문에 AI와 인류의 진화방향이 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AI는 3시간 걸릴 작업을 3분 만에 답을 찾아주는 일에는 유용하지만, 새로운 답을 찾아야 하는 질문에는 크게 도움이 안 된다”며 AI와 인류가 잘할 수 있는 영역이 다를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30초보다 1시간, 1시간보다 3시간, 3시간보다 1년, 나아가 3년… 상대방과 ‘진짜 질문’을 주고받으려면 대화하는 시간이 길수록 좋죠. 질문하는 데도, 대답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긴 대화’ 끝에 비로소 꺼내는 말이 있어요.” 8월 말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