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질병관리청은 18일 집중호우 지역의 풍수해 감염병 발생 위험이 커짐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감염병 감시를 강화하고 모기 등 매개체 방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수해 발생 지수해 지역, 살모넬라균-말라리아-결막염 등 감염병 주의해야
질병관리청은 18일 집중호우 지역의 풍수해 감염병 발생 위험이 커짐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감염병 감시를 강화하고 모기 등 매개체 방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수해 발생 지역에선 하수관 범람으로 인해 오염된 물을 섭취할 우려가 있다. 살모넬라균 감염증 등 장관 감염증, A형 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와 같은 수인성 및 식품 매개 감염병 유행 가능성도 커진다. 수인성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손 씻기와 익힌 음식 섭취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설사와 구토 등의 증상이 있으면 조리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비가 온 뒤 물웅덩이 등에선 모기가 증식하기 쉽다.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일본뇌염을 예방하려면 모기 유충 서식지인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의 고인 물을 제거해야 한다. 수해를 입은 지역에선 설치류와 가축 등의 소변을 통해 렙토스피라증에 걸릴 수 있다. 급성출혈성결막염, 접촉성 피부염도 주의해야 한다. 침수 지역에선 수해 복구 작업 시 피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