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몇일**** ‘지이이잉~’ 기자의 목 뒤에서 진동이 울렸다. 휴대전화 진동이냐고? 아니다. ‘거북목 알림’ 진동이다. 업무에 집중하다 보니 자세가 흐트러진 것. 허리는 구부정하고, 고개는 모니고개 내밀면 목덜미서 ‘지잉∼’…“아차, 또 거북목 자세였군”
***몇일**** ‘지이이잉~’ 기자의 목 뒤에서 진동이 울렸다. 휴대전화 진동이냐고? 아니다. ‘거북목 알림’ 진동이다. 업무에 집중하다 보니 자세가 흐트러진 것. 허리는 구부정하고, 고개는 모니터에 빨려들어갈 듯 쭉 내밀고 있었다. 말 그대로 ‘거북이’처럼.‘거북목 알림’ 애플리케이션(앱)을 켜자 고개가 30도 가까이 숙여진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자세로 계속 앉아 있으면 나이 먹고 고생한다.” 지금은 퇴직한 선배의 말이 문득 떠올랐다. 약 2년 전에 들었던 말인데, 여전히 고쳐지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최근 어깨와 목 주위가 뻐근하고 두통을 자주 앓았다. 분명 좋지 않은 자세의 영향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미 굳어진 자세를 바꾸기란 쉽지 않았다.‘거북목 증후군’은 거북이가 목을 길게 뺀 모습처럼 머리가 어깨보다 앞으로 나와 있는 상태를 말한다. 낮은 위치의 모니터를 장시간 보거나 고개를 숙인 채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이 주요한 발생 원인이다. 이러한 자세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