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한국과 미국의 연구진이 ‘인공 태양’으로 불리는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사진) 공동연구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의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핵융합 에너지韓美연구진, ‘인공태양’ 핵융합 상용화 핵심기술 확보
한국과 미국의 연구진이 ‘인공 태양’으로 불리는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사진) 공동연구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의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의 기술적 장벽이었던 플라스마 운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기술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미국 프린스턴플라스마물리연구소 공동 연구진이 개발했다고 밝혔다. 핵융합을 위해서는 섭씨 5000만∼1억 도 정도의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가 유지돼야 한다. 이에 핵융합 장치의 내벽은 초고온 플라스마를 견딜 만큼 열에 강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텅스텐이 차세대 내벽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KSTAR 역시 2023년 내부 핵심 부품인 ‘디버터’를 텅스텐 소재로 교체한 바 있다. 문제는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텅스텐 불순물이다. 불순물이 플라스마에 유입될 경우 장치의 운전 안정성과 플라스마 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는 것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의 관건으로 꼽혔다. 한미 공동 연구진은 붕소 분말을 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