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삼성전자가 신작 자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AP)인 ‘엑시노스2600’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갤럭시 S26 시리즈에 탑재될 경우 지난해부터 이어진 시스템 반도체 관련 적자 폭이 줄어들 것수율 문제 잡았나…삼성 ‘엑시노스 2600’ 양산 체제 돌입, 갤럭시 S26 탑재 여부 관심
삼성전자가 신작 자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AP)인 ‘엑시노스2600’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갤럭시 S26 시리즈에 탑재될 경우 지난해부터 이어진 시스템 반도체 관련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9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모바일 AP 엑시노스2600 양산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그간 2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공정을 기반으로 엑시노스2600 개발해 왔다. 최근 수율이 개선되면서 내년 갤럭시 S26 시리즈 탑재를 위한 준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모바일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스마트폰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엑시노스2600의 성공 여부가 삼성전자 시스템 반도체 사업의 실적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와 시스템LSI 사업부는 지난해 4분기(10~12월) 이후 분기마다 약 2조 원 안팎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작 모바일 AP인 ‘엑시노스 250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