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불법 팸토셀(소형 기지국)을 활용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를 수습 중인 KT가 지난해에도 악성코드 공격을 당했으며 KT는 이 사실을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은폐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 등이KT, 작년 서버 43대 악성코드 감염 알고도 은폐
불법 팸토셀(소형 기지국)을 활용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를 수습 중인 KT가 지난해에도 악성코드 공격을 당했으며 KT는 이 사실을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은폐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 등이 포함된 총 43대 서버가 감염됐지만 KT가 신고하지 않고 자체 처리한 사실이 정부 조사에서 뒤늦게 드러난 것이다. 민관합동조사단은 6일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서버 포렌식 분석을 통해 지난해 3∼7월 KT에 BPF도어, 웹셀 등 악성코드 침해사고가 발생했으나, KT가 이를 신고하지 않고 자체 처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 4월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때에도 발견된 악성코드인 ‘BPF도어’는 침투 이후 수년간 서버에 숨어 있다가 해커가 특정 신호를 주면 작동하며, 주로 중국의 해커 집단이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작년 악성코드 감염 사실을 최근 불법 팸토셀 침해 사고 조사 과정에서도 정부에 보고하지 않다가 조사단이 KT 서버에서 백신이 사용된 흔적을 발견해 추궁하자 Read more











